이정복 목사의 설교아카데미 9 (역사적 해석)
- 작성자 : 1148
- 13-02-18 15:00
설교 준비의 실제 V:
역사적 해석
(토론토 아름다운장로교회)
‘설교의 주제’(sermon theme)라는 기둥을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첫 번째 방법은 문자적 해석(Literary Interpretation)임을 밝혔다. 두 번째 방법은 역사적 해석(Historical Interpretation) 방법이다. 엘리자베스 악테마이어(Elizabeth Achtemeier)라는 설교학자는 설교의 주제를 발견하기 위해 “본문의 역사에 매달려라!”(Cling to the history!)라고 특히 강조 했다. 하나님께서는 구체적인 역사 안에서 그리고 그 역사를 통하여 성경 본문을 주셨기 때문에, 설교자가 본문의 역사에 매달리게 될 때, 본문의 저자는 누구인가? 독자는 누구인가? 시대는 언제인가? 역사적-문화적 상황은 무엇인가? 그리고 기록목적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질문들에 설교자가 답변하는 과정을 통해 본문의 주제를 발견하게 된다.
만약 설교자가 본문을 오늘날의 상황이나 관점에서 해석할 때 설교자는 본문의 의미를 왜곡시키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본문의 의미라고 하는 것은 문화의 변천과 세대의 변천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한 예를 들어보면, 우리는 보통 예수님의 직업이 ‘목수’였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어떤 고고학자들은 예수님의 직업이 목수라기보다는 ‘석공’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고고학적 연구에 의하면 예수님 당시의 이스라엘에는 오늘날 우리들이 보는 나무집이 아니라 대부분 돌집이었다는 것이다. 목수라고 영어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석공’과 ‘목수’로 번역될 수 있는데 오늘날의 영어번역자들이 오늘날의 관점으로 생각하다가 보니 ‘석공’이 아니라 ‘목수’로 번역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주장의 진위를 떠나서 이런 예가 보여 주는 것은 설교자가 본문을 당시의 역사적 상황이 아니라 오늘의 관점으로 해석할 때 본문의 의도가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설교자가 본문에서 과거의 습관, 종교행사들, 법률들 등을 발견하게 될 때, 먼저 이런 것들이 원 독자들의 역사적 상황에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를 먼저 발견해야만 한다. 일단 설교자가 이런 주의를 기울여서 그 본문의 당시의 의미(주제)를 결정하게 되면, 설교자는 오늘날의 청중에게 관련성(relevant)있는 의미를 원 의미로부터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오늘날의 청중은 원 독자들이 들었던 것과 동일한 주제의 설교를 오늘날 듣게 되는 것이다.
설교자가 본문의 의미와 그에 따른 주제를 발견하기 위해 역사에 매달리게 될 때, 고려할 한가지 더 추가할 역사적 요소는 본문이 가지는 하나님의 나라의 역사(history of God’s kingdom)를 역시 고려하는 것이다. 성경의 역사는 단순한 인간적인 역사가 아니라 성경 기자의 눈으로 해석된 하나님 나라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성령님의 인도아래 성경의 저자들은 성경의 어떤 사건들(events)이 기록되고 또 그 사건의 어떤 국면들이 강조되어야 하는지 주의 깊게 선택했다. 그럼으로써 단순한 역사 서술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역사를 드러내려고 한 것이다. 따라서 설교의 정확한 의미와 주제를 파악하고자 하는 설교자는 본문을 해석할 때 단순히 그 본문이 위치한 역사적-문화적 상황에서만 해석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 발전의 전체의 역사 속에서 그 본문이 차지하는 왕국적 의미를 또한 발견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럴 때 어떤 본문과 설교의 주제는 하나님이 의도하신 온전한 의미를 붙잡은 주제가 된다.
댓글목록